한일 비교

결혼식 문화 🇰🇷한국 vs 🇯🇵일본, 이렇게 다르다고?

K-치킨러버 2025. 8. 3. 11:00

결혼은 인생의 가장 중요한 이벤트 중 하나! 🎊
그만큼 결혼식에는 사회적 분위기, 가족 문화, 가치관이 고스란히 반영됩니다.

오늘은 제가 경험하거나 관찰한 한국과 일본의 결혼식 문화
초대, 예식 방식, 축의금, 전통의식까지 전반적으로 비교해 보려고 해요.
의외로 닮은 점과 다른 점이 많답니다 😊


🏛️ 1. 어디서 결혼해요?

항목한국 🇰🇷일본 🇯🇵
전통 예식장 중심, 짧고 효율적인 식 💒 신사에서 가족 중심 의식(신토식) 후 연회 ⛩️→🍽️
현대 호텔·스몰웨딩·야외식 인기 상승 ⛺️ 신토식 후 호텔/레스토랑에서 연회 중심 본식 진행 🍽️
해외 결혼식 제주, 괌, 하와이 등 소규모 해외식 💍 사이판, 하와이 교회 결혼식 인기 🌺
 

📌 한국은 예식장에서 30분~1시간 내로 간결하게 진행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에요.
하지만 요즘은 호텔 웨딩, 야외 스몰웨딩처럼 분위기와 의미를 중시하는 방식도 점점 많아지고 있죠.

📌 일본은 전통적으로 **신사에서 가족 중심의 혼례(신토식)**를 올린 후,
호텔이나 레스토랑에서 연회(피로연)를 이어가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특히 연회에서는 고급 코스 요리와 영상 연출, 의상 교체 등 다양한 요소가 포함돼요.


👥 2. 누굴 초대하나요?

항목한국 🇰🇷일본 🇯🇵
초대 범위 직장 동료, 부모 지인, 학연까지 광범위 🧑‍💼👵 가족·친척·절친한 친구 중심 👨‍👩‍👧‍👦
하객 수 100~300명 이상 가능 💃 본식은 30~70명 내외 🤝
인식 차이 체면과 의례 중시 🤝 진심 있는 관계만 초대 🙏
 

💡 한국은 한때 "돌아가신 외할아버지 친구도 오신다"는 농담처럼,
부모님의 지인부터 직장 상사, 동문, 친구의 친구까지 폭넓게 초대되는 문화였어요.

하지만 최근에는 스몰웨딩 문화 확산과 함께
진짜 소중한 사람만 초대하자는 흐름도 자리잡고 있습니다.

💡 일본은 원래부터 초대 범위가 좁은 편입니다.
본식은 가족·친척·정말 친한 친구 중심으로 진행하고,
대신 **2차(이자카야, 회비 3천엔~5천엔 수준)나 3차(개인 파티)**를 통해 더 많은 친구들과 축하를 나누는 문화가 있어요.


💸 3. 축의금 문화는?

항목한국 🇰🇷일본 🇯🇵
전달 방식 현장 봉투 또는 모바일 청첩장 계좌이체 📱🧾 고급 축의봉투(ご祝儀袋)에 현금 💴
최근 변화 코로나 이후 모바일 청첩장 + 계좌기재 확산 📲 여전히 직접 봉투 전달 중심 📩
평균 액수 5~10만 원 💰 본식 참가 : 친구: 3만엔, 친척: 5~10만엔 💵
 

📌 한국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참석이 어려우시면 계좌로 마음만 전해주세요”라는 문구가 모바일 청첩장에 등장하면서
계좌이체 방식의 축의금 문화가 빠르게 확산되었어요.

현재도 스몰웨딩이나 비대면 예식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계좌 기재가 자연스러운 예의처럼 자리잡았습니다.

📌 일본은 여전히 축의봉투에 현금을 넣어 당일에 직접 전달하는 문화가 중심입니다.
특히 고급 봉투에 정성스레 이름을 쓰고, 금액도 홀수로 맞추는 등 세심한 형식미를 중요하게 여겨요.

✍️ 일본에서는 축의금과 부의금 봉투에 쓰는 글씨 색상도 구분합니다.

  • 결혼식 등 경사에는 진한 검은색 붓으로 이름을 쓰고,
  • 장례식 부의금(香典)에는 회색이 감도는 먹색을 사용합니다.

이는 “눈물에 젖은 듯한 글씨”를 표현하는 것으로,
슬픔의 감정을 담아 정중하게 마음을 전한다는 의미가 있어요.
일본 특유의 형식미와 감정 표현의 섬세함이 느껴지는 부분이죠.

💰 그리고 부의금 금액에 대해서도 한 가지 차이가 있어요.

📌 일본에서는 부의금은 축하의 의미가 아니기 때문에,
축의금보다 적은 금액을 넣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친구의 결혼식에는 3만엔,
장례식에는 5천엔~1만엔 정도가 평균적인 기준이에요.

💡 너무 많은 부의금을 넣는 건 ‘축하의 오해’가 생기거나,
유족에게 부담이 될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예의
로 여겨진답니다.


🧎‍♀️ 4. 전통 의식 – 폐백과 신토식

📌 한국에서는 본식을 마친 후, 신부가 한복으로 갈아입고
시댁 어른들께 절을 드리는 '폐백'이라는 전통 의식을 진행해요.
아들딸 많이 나으라고 대추와 밤을 던지는 재미난 풍습도 있고, 가족 중심의 의례로 따뜻한 분위기가 형성되죠.

📌 일본은 신사에서 진행되는 신토식 전통 혼례가 대표적인 전통 방식이에요.
신 앞에서 합환주를 나누고 가족 간의 유대감을 맺는 상징적 의식이죠.
현대에도 이 신토식을 간단히 진행한 후 호텔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5. 하루 종일 결혼식? 일본의 연회 시스템

일본의 결혼식은 시간 순서로 나눠 진행되는 구조예요.

  1. ⛩️ 신사에서 전통 결혼식(신토식)
  2. 🍽️ 호텔이나 레스토랑에서 연회 본식 진행
  3. 🍻 2차: 친구들과 이자카야 등에서 가벼운 파티
  4. 🎤 3차: 소수 지인들과 심야 파티나 바

📌 본식은 엄숙하게, 연회는 화려하게!
📌 특히 의상을 2~3벌 갈아입는 것도 특징 중 하나예요. (기모노 → 웨딩드레스 → 파티복 등)
📌 연회에서는 영상 상영, 게임, 깜짝 이벤트 등 연출의 재미도 한몫해요.


✨ 마무리하며…

한국은 점차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방식으로,
일본은 여전히 정중함과 형식을 중시하는 방식으로 결혼식을 진행하지만,
양국 모두 의미 있는 사람과의 시간을 소중히 여기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 여러분은 어떤 결혼식이 좋으셨나요?

스몰웨딩 vs 전통혼례,
계좌청첩장 vs 축의봉투,
웨딩드레스 vs 전통의상

✨여러분의 결혼식 혹은 기억에 남는 하객 경험을 댓글로 나눠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