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 더위를 이겨내는 한일의 지혜와 정서
무더운 여름이 한창인 7월 말, 한국에선 ‘복날’이 오면 삼계탕집에 줄이 길어지고, 일본에선 ‘도요노우시노히(土用の丑の日)’가 되면 슈퍼마켓 장어 코너에 인파가 몰립니다.
각국의 대표 여름 보양식, 삼계탕과 장어. 둘 다 ‘건강을 챙기자’는 마음에서 시작되었지만, 그 배경과 문화는 꽤나 다릅니다.
🧭역사 속으로 — 복날과 도요노우시노히의 기원
한국의 복날: 음양오행과 한의학의 지혜
한국의 복날은 초복·중복·말복, 1년에 세 번 있으며, 음력 기준으로 가장 더운 시기를 뜻합니다. 예로부터 "이열치열"이라 하여 더위를 뜨거운 음식으로 이겨낸다는 지혜가 전해졌고, 그 대표가 바로 삼계탕입니다.
삼계탕은 조선 후기부터 보양식으로 자리잡았으며, 한방재료인 인삼, 황기, 대추, 찹쌀 등을 닭 속에 넣어 끓인 음식으로, 기력 보충에 좋다는 믿음이 있습니다.
일본의 도요노우시노히: 음양도와 상술의 만남
일본의 ‘도요(土用)’는 계절의 경계기를 뜻하며, ‘우시노히(丑の日)’는 12지 중 ‘소(丑)’에 해당하는 날입니다. 이때 장어(うなぎ)를 먹는 풍습은 에도시대(18세기) 상인이 장어가 여름에 안 팔리자 평일에도 잘 팔리게 하려는 마케팅에서 시작됐다는 설이 강합니다.
하지만 그 기원은 음양오행 사상과도 얽혀 있어요. 여름철 기력 보강에 좋다고 여겨진 장어가 이 시기와 맞물려인기를 얻었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표로 비교해보는 한일 여름 보양 문화
시기 | 음력 6~7월, 총 3번 | 입추 전 약 18일 사이의 소의 날 |
대표 음식 | 삼계탕, 닭백숙 | 장어덮밥(우나기동), 구이 |
문화적 성격 | 전통의학 기반 보양식 | 상술+민속 전통이 결합 |
음식 이미지 | 따뜻한 국물, 건강한 느낌 | 달달한 양념, 고급 외식 이미지 |
현대 인식 | 가족과 함께, 대중적인 음식 | 고가 식재료, 소소한 이벤트 느낌 |
🌐사회적 인식과 변화
한국에선 복날 삼계탕이 거의 국민적 행사에 가깝습니다. 회사 점심 회식, 가족 외식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죠. 반면 일본은 장어 가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요즘은 편의점, 슈퍼에서 파는 장어 도시락을 사 먹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두 나라 모두 "지친 몸에 힘을 보태기 위한 보양"이라는 공통된 정서를 담고 있습니다. 단순한 음식 소비를 넘어서 마음과 몸을 돌보는 문화인 셈이지요.
🐔에피소드 하나: 삼계탕집 줄서기 vs 장어덮밥 예약 전쟁
몇 해 전 여름, 서울에 있는 유명 삼계탕집을 찾았을 때, 점심시간 11시에 줄 서도 한 시간 대기는 기본이었어요. 안에는 외국인 관광객도 적지았습니다. 한국의 복날은 이제 세계적으로 알려진 문화 행사 같기도 했죠.
반면 도쿄의 한 장어요리 전문점에선, 도요노우시노히엔 몇 주 전부터 예약 마감이라는 안내를 받았던 기억이 있어요. 장어가 귀해진 탓도 있지만, 한 끼로 여름을 특별하게 보내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열정이 느껴졌습니다.
📌보양음식의 의미: 몸보다 마음을 달래는 시간
어쩌면 보양음식의 진짜 의미는 몸의 피로 회복뿐 아니라,
"나는 나를 잘 돌보고 있다"는 작은 위로와 다짐 아닐까요?
한국의 삼계탕이든, 일본의 장어덮밥이든, 그 속엔 계절을 살아내는 삶의 지혜와 정성이 담겨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음식으로 여름을 이겨내고 계신가요? 😌
💬함께 이야기 나눠요!
👉 여러분이 좋아하는 여름 보양식은 무엇인가요?
👉 한국의 복날, 일본의 도요노우시노히 중 가보고 싶은 날은?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나눠 주세요! 😊
포스팅이 마음에 드셨다면 공감 ❤️과 구독 🌟 부탁드려요!
'한일 비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계절을 수놓는 이야기: 한국과 일본, 축제로 피어나는 삶의 지혜와 정서 (7) | 2025.07.27 |
---|---|
🎁일본은 여름, 한국은 가을? (7) | 2025.07.26 |
🍺 "한 잔의 방식이 다르다: 한국 vs 일본 음주 문화" (6) | 2025.07.26 |
🍶 한국 vs 일본, 회식 문화의 차이와 공통점 (6) | 2025.07.25 |
🍱 한국 vs 일본 직장인 점심시간 비교! (6) | 2025.07.24 |